몇가지의 블로그를 운영해 보면서,
본인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을 참 편하게 하는구나 싶었다.
앞으로 계속 분석 및 추가 할 것이지만 일단 내가 운영하는 몇가지 블로그를 기준으로 분석.
source 'https://rubygems.org'
gem 'rouge'
gem 'jekyll'
gem 'jemoji'
gem 'jekyll-paginate'
rouge는 블로그에서 언어별로 색상 예쁘게 넣어주는 젬
jekyll은 ㅡㅡ?? 써도되고 안써도 되는듯
jemoji는 에모지(일본어로:그림문자)를 넣어주는 젬
jekyll-paginate는 페이징 해주는 젬
source 'https://rubygems.org'
gem 'jekyll', '3.8.4'
group :jekyll_plugins do
gem 'jekyll-feed', '0.11.0'
gem 'jekyll-seo-tag', '2.5.0'
gem 'jekyll-sitemap', '1.2.0'
gem 'tzinfo-data'
end
여기서는 지킬의 버전을 명시적으로 써줬다.
또한 group :jekyll_plugins do ~ end 라는식으로 묶어주는것도 보여진다.
gem ‘jekyll-feed’, ‘0.11.0’ 는 RSS 피드이고 블로그 루트에 feed.xml을 자동생성 해준다
gem ‘jekyll-seo-tag’, ‘2.5.0’는 SEO광고
gem ‘jekyll-sitemap’, ‘1.2.0’은 sitemap.xml을 블로그 루트에 자동생성 해주는 젬
gem ‘tzinfo-data’ 타임존 라이브러리
group :jekyll_plugins do
gem "jekyll-sitemap"
gem "jekyll-paginate"
gem "jemoji"
end
여기서는 정말 이렇게만 적혀있다 -_-;; 이렇게만 적어도 되는군!?
내용은 다른놈들이랑 비슷한듯
대충 요약하면
- jekyll-sitemap(필수)
- jekyll-paginate(페이징처리 넣을꺼면 필수)
- jemoji(그림문자 넣을꺼면 사용)
- jekyll-seo-tag(블로그로 돈맛?좀 볼라면 필수)
- jekyll-feed(블로그 빡씨게 하는사람 필수)
sitemap이 잘 작동하는지의 테스트는 블로그URL/sitemap.xml 쳐본다
RSS Feed가 잘 작동하는지의 테스트는 블로그URL/feed.xml 쳐본다